05. 원격 접속하기 - SSH, freeNX [NAS 구축기][ubuntu 10.4]

얼렁뚱땅설명서 2012. 2. 17. 20:15


우분투에 접속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전통적인 터미널로 접속하는 방법인 SSH를 이용하는 방법과
그래픽 화면으로 접속하는 방법인  VNC와 freeNX 등이 있다.
본인은 VNC 보다는 freeNX를 추천한다. 

VNC의 설정은 여기서 확인하길 바란다.  http://ssndwind.tistory.com/36
 

freeNX는 SSH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장 먼저 SSH를 설치하는 것이 우선이다.
SSH의 설치는 매우 간단하다.


username@homesvr:~$ 
sudo -s
[sudo] password for username: 
root@Team4Svr:~# apt-get install ssh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다음 패키지를 더 설치할 것입니다:
  openssh-server
제안하는 패키지:
  rssh molly-guard openssh-blacklist openssh-blacklist-extra
다음 새 패키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openssh-server ssh
0개 업그레이드, 2개 새로 설치, 0개 지우기 및 0개 업그레이드 안 함.
306k바이트 아카이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작업 후 864k바이트의 디스크 공간을 더 사용하게 됩니다.
계속 하시겠습니까 [Y/n]? 
받기:1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updates/main openssh-server 1:5.3p1-3ubuntu7 [305kB]
받기:2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updates/main ssh 1:5.3p1-3ubuntu7 [1,256B]
내려받기 306k바이트, 소요시간 1초 (256k바이트/초)
패키지를 미리 설정하는 중입니다...
전에 선택하지 않은 openssh-server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125813개의 파일과 디렉토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openssh-server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openssh-server_1%3a5.3p1-3ubuntu7_amd64.deb에서) ...
전에 선택하지 않은 ssh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ssh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ssh_1%3a5.3p1-3ubuntu7_all.deb에서) ...
ureadahead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ureadahead will be reprofiled on next reboot
ufw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man-db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openssh-server (1:5.3p1-3ubuntu7) 설정하는 중입니다 ...
Creating SSH2 RSA key; this may take some time ...
Creating SSH2 DSA key; this may take some time ...
ssh start/running, process 2167

ssh (1:5.3p1-3ubuntu7) 설정하는 중입니다 ...

root@Team4Svr:~#  

이렇게 하면 간단히 설치가 끝난다.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Putty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된다.
Host Name 에는 IP주소를 넣어도 되고, 공유기설정편에서
포트포워딩과 DDNS를 설정했다면 그 주소를 사용해도 된다. 
Host Name을 입력하고 [열기]를 클릭하면 답답한 까만 화면이 커서를 껌뻑이며 기다릴 것이다.
그래도 이 녀석은 생각보다 아름다운 놈이니 사랑해 주도록 하자. 
 

이 프로그램은 여기 
https://bitbucket.org/daybreaker/iputty/downloads 또는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  여기서 다운 받을 수 있다.




계속 이어서 freeNX를 설치한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root@Team4Svr:~# add-apt-repository ppa:freenx-team/ppa
Executing: gpg --ignore-time-conflict --no-options --no-default-keyring --secret-keyring /etc/apt/secring.gpg --trustdb-name /etc/apt/trustdb.gpg --keyring /etc/apt/trusted.gpg --primary-keyring /etc/apt/trusted.gpg --keyserver keyserver.ubuntu.com --recv F3A662B57D580D3A2E98E5152A8E3034D018A4CE
gpg: requesting key D018A4CE from hkp server keyserver.ubuntu.com
gpg: key D018A4CE: public key "Launchpad PPA for FreeNX Team" imported
gpg: Total number processed: 1
gpg:               imported: 1  (RSA: 1)
root@Team4Svr:~#
root@Team4Svr:~# apt-get update
받기:1 http://kr.archive.ubuntu.com lucid Release.gpg [189B]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main Translation-ko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restricted Translation-ko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universe Translation-ko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multiverse Translation-ko
받기:2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 Release.gpg [198B]
무시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updates/main Translation-ko
무시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updates/restricted Translation-ko
무시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updates/universe Translation-ko
무시http://kr.archive.ubuntu.com/ubuntu/ lucid-updates/multiverse Translation-ko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 Release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 Release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main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restricted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main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restricted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niverse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niverse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multiverse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multiverse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ain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restricted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ain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restricted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universe Packag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universe Sources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ultiverse Packages
기존 http://ppa.launchpad.net lucid Release.gpg
무시http://ppa.launchpad.net/freenx-team/ppa/ubuntu/ lucid/main Translation-ko
기존 http://kr.archive.ubuntu.com lucid-updates/multiverse Sources
기존 http://ppa.launchpad.net lucid Release
기존 http://ppa.launchpad.net lucid/main Packag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 Release.gpg
무시http://security.ubuntu.com/ubuntu/ lucid-security/main Translation-ko
무시http://security.ubuntu.com/ubuntu/ lucid-security/restricted Translation-ko
무시http://security.ubuntu.com/ubuntu/ lucid-security/universe Translation-ko
무시http://security.ubuntu.com/ubuntu/ lucid-security/multiverse Translation-ko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 Release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main Packag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restricted Packag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main Sourc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restricted Sourc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universe Packag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universe Sourc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multiverse Packages
기존 http://security.ubuntu.com lucid-security/multiverse Sources
내려받기 387바이트, 소요시간 5초 (74바이트/초)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root@Team4Svr:~#
root@Team4Svr:/etc/init# aptitude install freenx-server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Reading extended state information
Initializing package states... 완료
Writing extended state information... 완료
The following NEW packages will be installed:
  expect{a} freenx-server freenx-session-launcher{a} tcl8.5{a}
0 packages upgraded, 4 newly installed, 0 to remove and 0 not upgraded.
Need to get 0B/1,984kB of archives. After unpacking 5,722kB will be used.
Do you want to continue? [Y/n/?]
Writing extended state information... 완료
패키지를 미리 설정하는 중입니다...
전에 선택하지 않은 tcl8.5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읽는중 ...현재 132202개의 파일과 디렉토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tcl8.5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tcl8.5_8.5.8-2_amd64.deb에서) ...
전에 선택하지 않은 expect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expect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expect_5.44.1.14-5_amd64.deb에서) ...
전에 선택하지 않은 freenx-server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freenx-server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freenx-server_0.7.3.git110520.3884279-0ubuntu1ppa4_amd64.deb에서) ...
전에 선택하지 않은 freenx-session-launcher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freenx-session-launcher 패키지를 푸는 중입니다 (.../freenx-session-launcher_0.7.3.git110520.3884279-0ubuntu1ppa4_amd64.deb에서) ...
man-db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ureadahead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tcl8.5 (8.5.8-2) 설정하는 중입니다 ...

expect (5.44.1.14-5) 설정하는 중입니다 ...

freenx-server (0.7.3.git110520.3884279-0ubuntu1ppa4) 설정하는 중입니다 ...
freenx-server start/running

freenx-session-launcher (0.7.3.git110520.3884279-0ubuntu1ppa4) 설정하는 중입니다 ...

libc-bin에 대한 트리거를 처리하는 중입니다 ...
ldconfig deferred processing now taking place
패키지 목록을 읽는 중입니다... 완료
의존성 트리를 만드는 중입니다
상태 정보를 읽는 중입니다... 완료
Reading extended state information
Initializing package states... 완료
Writing extended state information... 완료
root@Team4Svr:~#  



명령어 3번만 입력하면 설치는 간단히 끝난다. 그러나 손은 조금더 봐야 한다.
간략히 말해, 설정파일을 열어서 3군데를 편집하고, 키파일을 만들어 주면 nxserver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root@Team4Svr:~#
root@Team4Svr:~# cd /etc/nxserver
root@Team4Svr:/etc/nxserver# ls
node.conf  node.conf.d  nxacl  nxcheckload  nxshadowacl
root@Team4Svr:/etc/nxserver# vi node.conf

#########################################################################
# General FreeNX directives
#########################################################################

# The host name which is used by NX server. It's should be used if it's
# different than the default hostname (as returned by `hostname`)
SERVER_NAME="$(hostname)" <--- # 제거

# The node ip which is used by NX Node in unecnrypted session mode.
# Set it if you want to use a specific external ip or the autodetection
# is not working.
#EXTERNAL_PROXY_IP=""

# The port number where local 'sshd' is listening.
SSHD_PORT=22 <--- # 제거


#########################################################################
# Authentication / Security directives
#########################################################################

# Authentication directives

# This adds the usermode to the possible authentication methods
# Usermode means that a user can start the nxserver as his shell
# and connect directly to the right server via a custom client.
#ENABLE_USERMODE_AUTHENTICATION="0"

# This adds the passdb to the possible authentication methods
#ENABLE_PASSDB_AUTHENTICATION="0"

# This adds SSH to the possible authentication methods. For it to work sshd
# must be set up at localhost accepting password authentication.
ENABLE_SSH_AUTHENTICATION="1" <--- # 제거

# This adds SU to the possible authentication methods. For it to work the
# "nx" user must be in the wheel (RedHat, Fedora) or the users group (SUSE)
# and the user logging in must have a valid shell that accepts the -c
# parameter.
#ENABLE_SU_AUTHENTICATION="0"

----
root@Team4Svr:/etc/nxserver# /usr/lib/nx/nxkeygen
Unique key generated; your users must install

    /var/lib/nxserver/home/.ssh/client.id_dsa.key

on their computers.
root@Team4Svr:/etc/nxserver# cp /var/lib/nxserver/home/.ssh/client.id_dsa.key client.id_dsa.key
root@Team4Svr:/etc/nxserver# ls
client.id_dsa.key  node.conf  node.conf.d  nxacl  nxcheckload  nxshadowacl
root@Team4Svr:/etc/nxserver# cat client.id_dsa.key
-----BEGIN DSA PRIVATE KEY-----
MIIBuwIBAAKBgQD4guNuz7zayUfzNlroQ+lGbmM3kbJSPALDWDsN1t2gop3i5xK2
SV1TaoBGNlsL4IWqn0bGjSZ3ulNKkohO20ltGG3oId6jDlSbc2IvhBrybNonc6rs
x/63NcXnp8rN1WeuUrHj+uvsgsHiBGc7m5Mb7Jub31g6ndBgUjaIqLQMFwIVANZy
CDqEGS9NlGdeSO5D2pNDaCVxAoGAFlsuFWVJiRN9boAw46zjlp/TsyfQE5jjakNv
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
UYomTy3IBJgJCOZS7KY9rqeDoB05RNsD3Lmh4zGJt2wy8olXYWA36mHwGwovrwJl
/2vGdiMCgYEAsE4q3qOQhxS3IiMcSlRXRCHHfL+WXmAwhZo6y+Xf9hU5l69txoC8
Nr1tmkAqqf7K73MiXgC8DWgbtMn5M2nWqOiR4bmGt369mWsbQJvWyLAEU4En5q/4
DB0Y2+C9Ho3KrCHKZxINT8Gfr31p3QmEBRXhdu31XKzNo3KUOBjznIECFBlZ6Z0F
coC8jtYnYzVGV9uadhsU
-----END DSA PRIVATE KEY-----
root@Team4Svr:/etc/nxserver#
root@Team4Svr:/etc/nxserver# service freenx-server restart
freenx-server start/running
root@Team4Svr:/etc/nxserver#


맨 마지막에 Client.id_dsa.key의 내용은 잘 복사해 둬야 한다.
이것은 FreeNX Client를 이용한 접속에서 사용해야 한다.

설치가 끝나면 FreeNX Client 프로그램을 설치하자.
FreeNX Client는 다음 주소에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받을 수 있다. --> 
http://www.nomachine.com/download.php 

다운받아 설치하고 나면, 아래의 그림처럼 Session 에 서버이름을 만들어주고,
Host 입력 칸에 서버 주소를 적어준다. 포트포워딩과 DDNS를 설정했으며, 그 주소를 적어 주어도 된다.
그러면 인터넷이 연결된 모든 장소에서도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Next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 화면이 나오면 자신의 환경에 맞는  desktops을 선택하면 된다.
우분투 10.04는 기본이 GNOME이다. 선택을 완료했으면 다시 Next를 클릭한다. 

 



Finish를 클릭하고 다음으로 넘어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다. 
그러면, 먼저 Configure... 버튼을 누르고, 다시 Key... 버튼을 누른 다음
nxserver 서버 설치 마지막 단계에서 복사해둔 client.id_dsa.key 값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된다.
이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Login 버튼은 누르면
당신의 우분투 서버와의 감동적인 만남을 어디서든 할수가 있다.



04. 공유기 설정 [NAS 구축기]

얼렁뚱땅설명서 2012. 1. 7. 02:42

NAS 서버의 용도는 집에서 공유 저장소에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욕심은 외부에서도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용도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의 설정이 필수이다.

그러니까, 공유기 너머에 있는 서버에 접속을 위한 방법은 서버를 DMZ에 위치 시키거나 Twin IP를 설정하거나 해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포트 포워딩 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추천은 포트 포워딩 이다. 이유는 별거 없다. 서버를 외부로 부터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서 이다. 이벤트 로그를 보면 하루에도 엄청난 수의 해킹 시도가 있었는지 알게 된다. 그렇지만 걱정할 것은 없다. 암호만 잘 만들어 두면 된다. 대부분의 공격은 단순한 사전 공격일 뿐이니까 말이다. 

포트포워딩은 필요한 포트 하나만 열어 두는 것으로 나머지 포트는 공유기가 알아서 다 막아준다. 본인은 22번 포트 하나만 열어두는 것을 추천한다. 이것만 열어두어도 SAMBA 서비스 정도는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나는 욕심이 많아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열어 두었다.



외부에서 집에 있는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은 위에서 열거한 방법 이외에도 VPN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VPN은 서버에 연결하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이고, 속도도 느려 추천하지 않는다.
또한, 일부의 공유기만 VPN 서버를 내장하고 있고, 대부분은 이러한 기능이 없다.
물론, 본인은 욕심이 많기 때문에 사용한다.
 




NAS 서버를 운용하면서 가장 필요한 기능 중 하나가 DDNS 서비스다.
이것이 지원되어야 공유기를 재 시작할 때마다 변경되는 IP에 대응할 수가 있다.
DDNS 서비스는 대부분의 공유기에서 지원한다.


03. NAS - OS의 선택 [NAS 구축기]

얼렁뚱땅설명서 2012. 1. 3. 15:00


나의 첫 NAS는 모~사의 2Bay 짜리 염가 NAS 였다. 그런데 이것은 성능도 염가였다. 팔아치우는 것을 결정하는데 걸린 시간은 1주일이면 충분했다. 이름이 NAS였지 데이터가 공유되는 척만 하더라...

그 다음엔 인텔에서 나온 Atom CPU를 이용한 서버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처음엔 Windows2003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솔직히 나에겐 번거롭고 복잡했다. 원하는 프로그램도 많지 않고, 또 어둠의 루트라는 꺼림직(?)한 입수 활동을 해야 하고... 그냥 리눅스로 넘어갔다. 처음 리눅스는 Centos 5.5 였다. 성능은 킹왕짱, 프로그램 확장성 캡! 등등... 아쉬운 것은 프로그램 설치가 어렵고 번거로웠다. 아주 많이.... 그렇지만 그 상태로 오랫동안 사용했다. 



초저전력 ATOM 서버의 정리는 한순간에 이루어졌다. 
하드디스크를 더 추가하고 싶어진 것이다.
.....
.....
결론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무엇을 해도 일반 메인 보드와 CPU가 
초 저전력 메인보드 보다 저렴하고, 그 녀석을 3~4년 이상 쓰지 않는 이상
가성비는 거기서 거기란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OS도 Centos 에서 Ubuntu로 넘어왔다.
Ubuntu의 장점은 쓸데없이 라이브러리 컴파일 하겠다고 설치지만 않는다면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아주 많다.... 아주!

Ubuntu는 10.04 LTS 선택했다.
아래의 그림은 Home Server에 설치할 프로그램 들이다.


02. NAS 또는 HomeServer [NAS 구축기]

얼렁뚱땅설명서 2012. 1. 3. 14:25


나의 Home Server의 꿈은 오늘 시작한 것이 아니며, 처음부터 초절정 싸구려 컴퓨터로 시작한 것도 아니다.
그 시작은 당연히 NAS였으며, 그것도 2Bay에, 작고, 저렴한 녀석으로 시작했다.
그러나, 이 녀석은 구매해서 설치하자마자 배반감이 팍팍 들었다.
그 배반감은 뭐니 뭐니 해도 속도다. 끝장 개작살 왕느림 NAS!
정말로 그 비싼, QNAP나 Synology가 아니면 NAS가 아니란 말인가? 란 생각이 들었다.


그러고 나서 눈에 들어온 것이 ATOM을 이용한 초 저전력 서버였다.
초기 구축 비용은 조금 비쌌지만 어느 정도 만족했다.
Windows 2008서버도 설치하고, FTP도 설치해서 그럭저럭 사용했다.
그러다 Windows 서버는 뭔가 아닌 것 같아서 리눅스로 다시 꾸미기도 하고,
그럭저럭 잘 보냈는데, 결정적으로 HDD를 2개 이상 추가할 수가 없었다.
뭐, 1TB의 데이터를 가진 나로써는 3TB를 사용하고 있었으니 차고 넘칠 용량이지만...
............
부족했다.

그러고, 나서 눈에 들어온 것이 3만원짜리 CPU에 
5만원짜리 880G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방법이었다. 가격은 아래와 같다.

(AMD 셈프론 140[사르가스]) - 3만 5원
880G-SATA Prot 6EA - 5만 5천원
DDR3 RAM 4G - 4만원
베이 많은 케이스 -  2만 5천원 
80Plus 파워 - 5만 5천원
하드 디스크를 제외하고 총... 21만원


대략, 소형의 염가 NAS보다는 조금 비싼 금액이고, (이것도 사실 초염가 부품으로 하면 비슷하게 나올 것이다)
소형 ATOM 서버보다는 저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거기서 거기...
가장 걱정스러웠던 전기료도 거기서 거기다.
일단, 스팩상 45W인 CPU가 언제나 45W를 먹는 것은 아니다. (PowerNow를 사용하면 평소 800Hz로 동작한다.)
하루종일 켜져 있는 HomeServer와 42" PDP TV, 양문형 대형냉장고, 일주일에 2번 이상 돌리는 세탁기와
커피포트 + TV 수신료를 내면서도 전기료가 2만원 밑으로 나온다. (아놔! TV 수신료!!!)
참, HomeServer의 HDD는 총 5개로 9TB 이다.


개인적으로 AMD CPU와 메인보드를 좋아한다.
일단 저렴한 가격과 풍부한 인터페이스가 매력적이다.
인텔쪽을 좋아하는 사람이 훨씬 많지만.... 그래도 가성비 아닌가?

01. Home Server가 필요해! [NAS 구축기]

얼렁뚱땅설명서 2012. 1. 3. 14:05



IT 생활이 10년을 훌쩍 넘어버렸다.
그동안 내 손을 거쳐간 데스크 탑은 수 십대가 넘고, 
우리 집은 1인 1 PC를 달성하진 한참이 되었다.

그래서 현황을 보자면, 누나가 사용하는 데탑 1대,
어머니가 애용하시는 TV 옆에서 데탑 또 있고,
동생이 사용하는 노트북, 와이프가 사용하는 노트북, 
그리고, 내가 사용하는 노트북 있다.
그러나, 이것은 집안에서 만이고, 나의 경우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데탑, 노트북이 각각 1대씩 있다.
그럼 도대체 컴퓨터가 몇 대인거야?

그러나, 상황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시대는 바야흐로 스마트폰의 세상.... 어머니를 제외한 모두가 스마트 폰을 사용한다면?
대략, 유비쿼터스의 시대는 정말로 눈앞에 다가왔으며...
10년쯤 지나면, TV와 냉장고와 보일러, 현관문 등이 내게 말을 걸어오는 것이 신기하지 않을 지도 모르겠다.

하여간, 이딴 이야기 말고, 나는 지금 이 수 많은 첨단장비들 속에서의 데이터 통합을 이야기 하고 싶다.  
그러니까, 나와 와이프가 찍은 딸의 사진과 동영상들을 어떻게 통합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서 말이다. 
그 뿐이 아니라, 누나가 토렌트에서 열심히 다운받은 드라마와 영화, 
동생이 다운 받은 음악을 어떻게 공유할 것인가와 함께, 
 
아직도 쌍팔년도의 사고방식으로 살아가시는 어머니에게 이것들을 어떻게 보여줄 것 인가에 대해서 말이다.


정리하자면 이렇다.
1. 회사에서 사용하는 데탑과 노트북, 집에서 사용하는 노트북의 데이터를 어떻게 공유할 것인가?
2. 값비싼 첨단 LED TV로 TV만 보시는 어머니께 손녀의 사진과 동영상을 보여줄 방법은?
3.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모두에게 스마트하게 영화나 홈 비디오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없나?
4. 그 수많은 MP3파일은 어떻게 안될까?
5. 그리고, 이 수많은 자료들은... 어떻게 백업하지?


 

NAS 또는 Home Server 구축기, 둘

얼렁뚱땅설명서 2010. 3. 22. 10:52


1. Intel D510MO에 OS 설치하기

Home Server를 만들면서 가장 많이 힘들었던 부분이 OS 설치였다. 조립이야 어찌어찌 되었건 불량 난 부품은 바꾸면 되고, 뚫린 구멍은 막으면 될 뿐이지만, 내가 가지고 있는 CD로는 OS가 설치되지 않았다. 맨 처음은 Windows 2003 Server, 설치도중 블루스크린이 떠버리고 말았다, Windows XP sp1 버전도 마찬가지였다. 하는 수 없이 우분투 9.10을 받아서 설치했는데 이 녀석은 설치 도중에 화면이 캄캄해 지더니 아무 짓도 할 수 없었다. 페도라4에서는 설치 시도조차 불가능 했으며, 옆자리 동료가 준 Windows XP sp3 버전만 무사히 설치 되었다. 그래도 서버(?)로 쓸 건데란 생각에 Windows 2003 Server SP2를 받아 설치를 무사히 끝냈다. 그리고, 정품 등록하라는 메시지에 견디다 못해 Windows 2003 영문판을 다운받아 설치했다. 살짝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영문판 윈도우도 쓸만하다. 영문 윈도우에서 한글을 사용하려면, 제어판에서 Regional and Language Option에서 설정해 주면 된다.

OS에 대한 부분은 고민이 많았다. Unix계열을 만질 줄 모르는 것도 아니고, 내가 원하는 기능들 중 사용할 수 없는 부분이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피해야 될 이유가 없었다. 그러나, 맨 처음 Windows 2003 Server, 설치 시 블루스크린으로 인해 실패를 보았을 때, 머리에 떠오는 것은 그 무수한 권한 설정과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 해야 하는 사전 설정에 머리가 아찔한 기분이 들어 끝까지 윈도우로 고집했다.

또 다른 이유를 생각해 보자면, 윈도우 계열의 구조상 어쩔 수 없는 오버헤드가 있다고 해도, 그것이 얼마나 클까라는 안일함과 접속만 되고, 안정적으로 구동만 된다면 어느 정도 성능 하락이 있다고 해도 눈감아 주겠다는 생각이 있었다. 메모리도 디스크 공간도 충분한데 굳이 사용하는 리소스를 더 줄일 이유가 없다. 리소스만 빵빵하면 윈도우도 충분히 고성능 아닐까? 나의 짧은 생각으로는 윈도우도 1Gbyte의 이더넷 성능을 상회하고도 남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 녀석의 문제는 최신 OS(?)가 아면 설치가 쉽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2. FTP Server 설치

Windwos 2003 Server 버전에는 FTP Server가 포함되어 있다. 그렇지만, 영문판을 설치해서인지 FTP에 접속해도 한글로 된 디렉토리에는 접근이 불가능 했으며, 무식한 것이 원인 이겠지만 설정 자체도 까다롭고 잘되지 않아서 FileZilla FTP Server로 대치했다. FileZilla FTP Server는 설정도 쉽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라 따로 설명 파일이 필요하지 않았다. 단, Passive mode settings 에서 Retrive external IP address from을 선택해 주어야 별다른 오류 메시지 없이 FTP기능을 잘 수행한다. 이유는 Unix에서 FTP로 접속 시 알 수 없는 주소를 보낸다고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원인은 서버를 DMZ에 놓고 사용했기 때문에 FTP Client에 내부 IP 주소를 송출해 준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몇몇 환경에서 전송속도를 테스트한 결과다. HomeServer의 회선은 아파트 단지에 들어간 SK 브로드밴드이며, IDC Center는 회사에서 운용중인 Unix 서버에서 테스트한 결과이다. 테스트 방법은 80MB 파일을 주고 받으면서 테스트 했다.
내부에서는 ipTime N6004로 1G 유선으로 테스트 했다.

 구분  업로드 속도  다운로드 속도
 KT 초고속 인터넷 450Kbyte  2.2Mbyte 
하나로 IDC Center 9Mbyte  10Mbyte 
내부-점보프레임 활성  30~45Mbyte 동일 
내부-점보프레임 비 활성화 20~30Mbyte 동일 
본인이 기억하고 있는 대략적이 수치다.


3. Oracle 10g 설치

오랜 시간 동안 DB를 사용해 왔지만, 지금까지 사용한 DB는 Oracle 뿐이다. MS-SQL도 잠깐 사용해 봤지만 정말 잠깐이라 할 말이 없다. 개인용 DB의 대세는 MySQL인 것으로 알지만 역시나 사용해 본적이 없다. 참 미천한 DB 경험이지만, 개인용 서버에도 Oracle을 설치한 이유는 익숙한 것이 이것이라 설치 했을 뿐이다. 최신 버전인 11g를 설치하지 않고, 10g를 설치한 것은 단지, 설치파일이 작아서 일 뿐이다.

Oracle은 개발용일 경우에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안다. 물론 상용버전과 아무런 차이도 없으며, www.oracle.com에서 여러 가지 버전의 Oracle및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을 수 있다.


4. Apache 2.2 & Tomcat 설치

Apache 재단을 생각하면 정말 엄청나다는 생각을 한다. Apache 서버를 시작으로 지금은 가장 커다란 오픈 소스의 성지로 자리잡고 있다. 아마 Windows 계열을 포함하여 온 세상의 웹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Apache의 오픈 소스의 도움을 받지 않는 곳을 없으리라 생각된다.

하여간, 나는 아파치 웹 서버를 사용한 적도 없고, 앞으로도 사용할 일이 별로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파치 웹 서버를 설치한 이유는 통합 어플리케이션으로써의 가능성 때문이다. 그러니까 PHP를 사용하는 제로보드와 같은 것을 사용하면서 JSP를 사용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설치했다.


5. Visual SVN 설치

SVN은 버전관리 툴로써 유명하다. CVS의 단점을 계량해서 만들어 졌으며, 작업한 파일들의 이력을 생성해 주는 툴로, 혼자 사용하기에도 좋으며, 팀 작업에서는 빛나는 성능을 발휘하는 툴이다. 나에겐 NAS에서 PC 서버로 전환하게 된 것은 이 녀석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

[Visual SVN 설치 방법]

[SVN Client 설치 방법]


6. Windows 방화벽 설정

FTP 서버, 또는 아파치 서버, Oracle등의 프로그램은 포트를 여는 것 만으로 외부에서 접속할 수 없다. 나도 처음엔 이 부분을 몰라 방화벽을 해제하고 사용하는 등의 짓을 했지만 간단히 프로그램을 추가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었다.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시작>제어판>Windows 방화벽을 선택한 후 탭에서 예외를 선택한다. 예외 탭에서 프로그램 추가를 눌러 프로그램을 추가 시켜주면 된다. 아파치 서버의 경우 %APACHE_HOME%\Apache2.2\bin\httpd.exe을 선택하면 되고, 파일질라 서버의 경우 C:\Program Files\FileZilla Server\FileZilla server.exe를 선택하면 된다. 오라클과 같이 리스너가 따로 있는 경우에는 %ORACLE_HOME%\product\10.2.0\db_1\BIN\oracle.exe와 %ORACLE_HOME%\product\10.2.0\db_1\BIN\TNSLSNR.EXE를 각각 등록해 준다.




7. 공유기 설정

Windows 방화벽을 설정하고 나며, 내부에서는 PC서버로의 접속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 외부에서는 접속이 되지 않는다. 외부에서 PC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포트 맵핑이나 DMZ에 서버를 위치 시켜야 하는데, 나의 경우에는 포트 맵핑하는 것이 귀찮아 DMZ에 서버를 위치 시켰다. 나의 경우 ipTime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iptime.co.kr의 FAQ에서 해당 내용을 링크한다.



- 아래 참조 TwinIP & DMZ & 포트포워드-
http://iptime.co.kr/zeroboard/iptime_bbs/view.php?id=faq_setup&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DMZ&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55

http://iptime.co.kr/zeroboard/iptime_bbs/view.php?id=faq_setup&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DMZ&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40

http://iptime.co.kr/zeroboard/iptime_bbs/zboard.php?sn=off&ss=on&sc=on&id=faq_setup&keyword=%C6%F7%C6%AE%C6%F7%BF%F6%B5%E5&formbutton1=+%B0%CB%BB%F6+

내가 사용하는 공유기의 기능 중에 제일 좋아하는 기능은 VPN 기능이다. 회사에서 집에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으로 원격으로 집에 컴퓨터를 켜서 자원을 공유한다거나 있는 프린터를 사용할 때 사용한다. 실제로 이런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지만, 외부에서 공유기를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VPN을 통해 접속한 후 공유기에 접속하곤 한다.

- 아래 참조 -
http://iptime.co.kr/zeroboard/iptime_bbs/view.php?id=faq_setup&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VP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12

대부분의 공유기에는 WOL기능이 있으며, 보통의 메인보드들은 대부분 이 기능을 지원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는 목적은 NAS(Or PC서버)을 필요할 때만 사용하거나, 정전 등의 이유로 NAS(Or PC서버)가 꺼져 있을 경우 원격으로 부팅하기 위해 사용한다. 나 또한 항상 켜 놓기 위해 저전력서버를 구축했으나, 불의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이 기능을 활성화 해 놓은 상태이다.

- 아래 참조 -
http://iptime.co.kr/zeroboard/iptime_bbs/view.php?id=faq_setup&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DDNS&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50


DDNS 기능은 말이 필요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대부분의 공유기가 이 기능을 지원하며, www.dyndns.org에서도 이 기능을 지원해 준다. 이 기능은 유동IP를 사용하는 공유기가 DNS이름을 부여 받아 마치 고정 IP를 사용하듯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 아래 참조 -
http://iptime.co.kr/zeroboard/iptime_bbs/view.php?id=faq_setup&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DDNS&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64


다음 구상은.... 

이만큼 작업을 하고 나니 조금 다른 욕심이 생긴다. 그러니까, 웹으로 파일을 업다운 할 수 있는 기능을 만들거나, 사진을 보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능 들을 추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또는 스케줄러를 추가하여 자동 백업을 하는 기능들을 말이다. 뭐 시간이 좀 허락한다면 직접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NAS 또는 Home Server 구축기, 하나

얼렁뚱땅설명서 2010. 3. 17. 12:55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네트워크 접속 스토리지오픈백과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하여 사용하는 파일 서버 전용기이다. 하드디스크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OS, 관리용 유틸리티 등을 일체화한 단기능 서버 (어브라이언스 서버)로, 기억장치를 네크워크에서 직접 접속한...


1. NAS(Network-attached storage)에 대한 고민
NAS(Network-attached storage)에 대한 고민을 시작한 것은 작년 여름쯤이었다. 그 동안 모아놓았던 사진과 각종 자료들의 용량이 300GB를 넘고, 몇 번의 하드 날려먹기와 하드디스크의 복구와의 관계,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늘어난 하드디스크 때문이었다. 쉽게 말해서 하드디스크 몇 번 날려 먹으니까 집안에 하드디스크가 2TB를 훌쩍 넘어버렸다. 그렇다고 그 하드디스크를 다 사용하는 것도 아니다.

또 다른 이유는 파일공유의 문제가 있었다. 누나가 가지고 있는 자료와 내가 가진 자료가 중복되거나 공유를 하려고 하며, 귀찮은 일이 많이 생긴다는 것,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가진 자료를 넘겨주려면 대용량 메일 앞에서 한참을 기다려야 하다는 것이 귀찮았고, 회사와 집, 학원(?)을 오가면서 작업한 자료들을 들고 다닐 만한 정신이 내겐 없었다.

그리고, 결정적인 이유는 그 동안 내가 사용하던 데스크탑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집에 컴퓨터와 모니터를 놓아둘 공간이 없어져 버린 것이다. 대신 놋북이 생기게 되었지만, 여전히 저장자료에 대한 불안함이 있었고, 이동할 때마다 자료를 여기저기 메일로 던지는 번잡스러움은 내 머릿속을 떠다니고 있었다.

그래서, 올해 장장 3개월간에 걸쳐서 Home Server를 준비했다.


네크워크 구성도

이거슨 우리집 네크워크 구성도




2. 저가형 NAS, 유니콘의 Xtreamer e-TRAYz 체험기

처음의 고민은 그냥 외장하드 디스크를 네트워크에 붙여서 사용할 수 없을까란 고민에서 출발했다. 그래서 Network-attached storage라는 제품군들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말 그대로 네트워크에 붙여서 사용하는 외장 스토리지인 샘이었다. 그러나 이것들의 가격이 천차만별이고, 싼 것은 20만원에서 몇 배씩 늘어나니 사실 엄두가 나지 않았다.

그러다가, 유니콘의 Xtreamer e-TRAYz라는 제품이 15만원쯤에 출시되면서 과감히 도전해보기로 했다. 3개월 무이자 할부로 지른 녀석은 조용하고 빠르게 배달되어 왔으며, 여기저기 굴러다니던 500GB 하드디스크 하나를 품에 안겨주었다. 그리고, 몇 일간의 적응시간을 가졌다.

아놔! 일단, 만들어 놓고 사용해 보니 이것은 좀 아닌 듯싶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속도였다. GigaBit LAN을 사용해도 내부 네트워크에서 조차 느려터진 전송속도에 깜짝 놀랐으며, 자료폴더가 여기저기 분산되고 내가 원하는 데로 조정하기 힘든 녀석이었다. 더구나 안정적이지도 못했다. 물론 리눅스 기반이라 여기저기 손보면 쓸 수 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귀차니즘은 그 녀석을 쉽고 빠르게 버리게 만들었다.

e-TRAYz

3일 천하로 끝나고 만 Xtreamer e-TRAYz



3. 본격적인 Home Server의 구축

e-TRAYz를 버리면서, 2GB의 공유폴더를 제공하는 DropBox로 만족해야 할 판이었다. 어쩌면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이 마땅한 노릇이겠지만, 이미 NAS의 망령이 떠돌고 있는 나에겐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었다. 그래서 과감히 창고에 썩고 있는 컴퓨터의 부품을 떼어내어 팔기 시작했다.

메인보드와 CPU를 팔아 10만원, e-TRAYz를 팔아 13만원 등등 조금씩 자금을 모으고, 하나 둘씩 부품을 모으기 시작했다. 처음엔 케이스를 구입했다. 프라임디렉트 ITX Prime이란 제품이다.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무엇보다도 HDD를 3~4개까지 수납할 수 있어서였다. 그리고, 저전력 ITX메인보드로 가겠다는 강력한 의지이기도 했다. 그 다음은 NETmate SATA2100 PCI 카드였다. 윈도우뿐만 아니라 리눅스에서도 RAID를 구현할 수 있다는 말에 혹해서 구입했으나,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제품이다. 일단, 하드디스크가 세트로 있어야만 RAID를 구성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지금 그냥 놀고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보드와 DC파워는 한꺼번에 구입했다.

메인보드는 인텔의 D510MO Essential로 사실상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예전 아톰 시리즈는 왠지 싫고, 파인트레일으로 가고 싶은데 이 녀석뿐이라 하는 수 없이 구매했다. 사실 ITX보드들은 너무 비싸다. 비싸다는 근거는 넷북들의 가격을 생각해보면 쉽다. 모든 것을 다 갖춘 넷북이 비싸봐야 3~40만원쯤인 것을 고려하면 ITX보드들은 너무하다 싶다. 

마지막으로 비아코에서 판매한 8A DC파워를 구입했다. 비싸서 참 많이 고민했지만 2~3년 사용하면 그 가격을 뽑을 수 있다는 말에 과감히 질렀다. 더구나 HomeServer의 존재를 없는 듯이 가려줄 수 있을 것 같아서 말이다. 나머지 하드디스크와 램은 예전 컴에서 뽑아서 사용했다. 즉, WD 블랙 1TB 하드와 시게이트의 500GB하드, DDR2 4GB램으로 꾸몄다.


홈서버 구축 마인드 맵

마인드 맵으로 홈서버에 대한 고민을 정리 봤다.



4. 얼마나 들었을까?

배송비까지 고려해서 가격을 뽑아보자면, 메인보드 15만원, 파워 7만5천원, 케이스 3만원, 레이드 카드 2만원에 쓰던 부품이지만 램4G 10만원, WD 1TB 11만원, 씨게이트 500GB 하드 5만원쯤 해서 대략 50만원이 넘었다. 허걱 ㅡㅡ;

사실 이렇게 많이 들어갈 줄은 몰랐다. 실제 들어간 비용은 27만원쯤이지만, 개인이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렇게 많은 비용을 지출한다는 것은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ㅎㄷㄷ

다음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다.

깔끔하고 세련된 울트라씬 DELL VOSTRO V13!

얼렁뚱땅설명서 2010. 1. 19. 16:53


1. 왜, DELL VOSTRO V13 ?

노트북 선택의 기준은 작고, 가벼우면서, 배터리 성능은 기본적으로 2~3시간 정도만 버텨줄 수 있다면 OK라고 생각했다. 노트북을 가지고 게임을 할 것도 아니고, 적당한 해상도만 지원해 주면 문서 작업하는데 무리는 없으니 내장 VGA라도 충분하고, 메모리만 많이 확장할 수 있으면 몇 년이 지나도 웬만한 프로그램은 다 돌아가니 합격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런 노트북이 있기는 한 거야?

그래도, 내 기준에 가까운 노트북이 있기는 했었다. Amada-M300으로 무척 가벼웠지만 30분을 못 버티는 심각한 조루 배터리가 흠이었고, 나머진 괜찮았다. 그러나 그 후의 노트북은 죄다 가방 속에든 아령이었다. 무게가 무거우면 성능이라도 좋아야 할텐데 대부분은 그러지도 못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나를 설레게 노트북들이 속속 출현했다. 내가 원하던 작고, 가볍고, 전원이 없어도 3~4시간을 버틸 수 있고, 답답하지 않을 만큼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노트북 말이다. 이름하여 울트라씬! 몸무게가 1Kg 미만이었으면 하는 생각이 있지만, 그런 것은 너무 작아서 사용하기 불편하거나 터무니 없이 비싼 것들이라 1.3~1.7Kg정도를 생각해야 했다. 그래도 행복한 고민이지 않은가?!

울트라씬 노트북은 대부분 LED 백라이트를 사용해서 저전력이며, 6Cell을 기준으로 4~6시간 정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고, 해상도도 높은 편이라 작업하기도 편했다. 선택기준을 만들어야 한다면 11”인치의 작은 화면과 1.4Kg의 가벼움이던지, 13”인치의 큰 화면과 1.6Kg의 조금 무거움, 그리고, SU2300<SU3500<SU4100<SU7300등의 가격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CPU의 선택뿐이었다. 그래서, 웬만하면 60만원 후반대의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운 11”인치 크기에, OS가 설치되지 않은 노트북을 선택하려고 했다. DELL VOSTRO V13을 보기 전까지는 말이다.



DELL VOSTRO V13은 바로 이거야! 라는 감탄을 만들기에 충분했다. 1.65Cm의 얇은 두께에, 알루미늄 갑옷을 둘렀으며, SU7300 CPU를 사용해 빠른 성능을 확보하고, DDR3-1066을 사용해 발빠른 지원군을 보강했으며, 4200rpm or 5400rpm의 느린 하드디스크로 답답함을 유발하던 기존 노트북에 비해 7200rpm이라는 빠른 하드디스크를 채택함으로 사양을 보기만해도 시원함을 느끼게 해주었다. 몸무게는 1.59Kg으로 조금 무겁지만 13.3”인치라는 큰 LCD를 생각하면 150g 내외의 무게는 애교가 아니겠는가?! VOSTRO V13은 부가적인 기능도 나무랄게 없이 훌륭하다. 802.11n의 무선랜과 기가바이트 유선랜을 기본으로 지원하여 아쉬움이 없고, Bluetooth 2.1과 내장형 웹캠, 카드리더기, 그리고, eSATA 포트까지 갖추고 있어 부족함이 없다.



물론, 소소한 단점이 있기는 하다.
HDMI포트가 없는 것이며, USB가 딸랑 2개인 것과 그 마저 하나는 eSATA포트와 공유한다는 것, 다른 포트는 일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정말 단점인지는 의문이다. 비즈니스용 노트북에 수많은 USB포트와 HDMI포트는 그저 있으면 좋고, 없으면 그만일 뿐이다. Acer Timeline 3810TG처럼 듀얼그래픽을 지원하면 좋지만 없어도 그만이며, Asus처럼 Turbo33 기능이 있으면 좋지만, 없으면 아주 조금 아쉬울 뿐이다. 물론 다다익선이다. 많으면 장땡!


2. 손에 붙는 DELL VOSTRO V13!

DELL VOSTRO V13을 구입하면서 제일 불만인 것은 배송이었다. 일주일이나 걸리는 주문제작기간도 길다 싶었는데, 실제 배송 받은 것은 3주쯤 걸렸던 같다. 주문해놓고 오지 않는 노트북을 하염없이 기다리며 쇼핑몰만 들락거리고 다른 제품에 눈이 돌아가는 심정을 DELL 녀석들은 좀 알아줘야 한다. 긴 배송기간 때문이었는지 배송이 온다는 전화를 받았을 땐, 회사에서 집으로 뛰어 가고 싶은 심정이었다. 그리고, 드디어 손에 들어온 노트북!


배송된 포장 자체는 그저 평범한 박스 하나뿐이었다. 그리고, 박스를 뜯자 노트북이 마치, 진검처럼 놓여 있었다. 칼날이 잘 벼려진 VOSTRO V13이 박스 가운데 있었다. 무게는 조금 있는 편이었고, LCD는 생각보다 조금 더 넓은듯한 느낌이었다. 전원을 넣자 날카롭게 돌아가는 하드디스크의 소리가 들렸다. 그리고, 인디케이터들이 튀지 않는 빛을 뿜으며 자신의 상태를 알려오기 시작했다. 



깔끔한 검정색의 키보드와 튀지 않는 인디케이터의 배치는 고급스러움 그 차체였다. 넒은 화면 덕분에 자판도 커서 타이핑하기에 좋았다. 이 녀석을 만지고 있자니, 그 동안 보아오던 플라스틱 껍데기의 노트북들은 애들 장난감 마냥 느껴진다. 좋은 물건을 손에 넣음으로써 생기는 유치한 우월감이 손끝에서부터 올라왔다. 창피하지만, 나의 지름신은 이런 식으로 오르가슴을 선사하고 떠나신다.


나머지 기능을 체크하기 위해 이것저것을 만져보기 시작했다. 우선전원을 켜니, Windows7이 자동으로 설치되었다. 그리고, 로그인. 다른 회사에 노트북에 비해 번들로 제공되는 프로그램 적은 것 같았다. 적어서 나쁘다는 의미가 아니라 깔끔해서 좋았다. 무선랜 연결도 무리 없이 진행되었으며, 유선랜도 기가바이트답게 빠른 속도를 보여줬다. 그리고, eSATA연결!, eSATA를 연결하고 나서야 사용할 수 있는 USB가 하나밖에 없는 것을 알았다. 아니, eSATA를 빼면 두개, 사용하면 하나가 된다. HDMI포트가 없는 것보다도 USB포트가 적은 것이 가장 아쉬웠다.


그래도, 이정도 가격에 세련된 외장을 갖추고, 알찬 내실을 가지고 있으면, 포트 한두 개쯤 없는 것이 무슨 흠이겠는가. 이 정도면 완소 놋북으로 선정해도 괜찮겠지?

USB가 두개 밖에 없는 것은 암만 생각해도 좀 에러인듯은 싶다!


DSLR을 처음 사용하는 그녀를 위한 안내서 (2)

얼렁뚱땅설명서 2009. 9. 16. 13:03

둘, 야경에서 조리개 다루기

조리개 수치는 아웃포커싱을 할 때만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야경을 찍을 때는 조리개를 이용하여 멋진 빛갈라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빛갈라짐[각주:1] 현상은 조리개모양에 의해 생기는 현상으로 F값을 높게 조일수록 두드러지게 됩니다. 마치 별처럼 말이죠. 

반대로 심도가 낮은 밤 사진은 빛이 물방울처럼 뭉치게 됩니다. 이 현상도 조일 때와 마찬가지로 조리개모양에 영향을 받아 생기는 현상입니다. 정확히는 조리개 모양대로 빛방울이 뭉치게 됩니다.

(50mm, F8, 8s, ISO 200, NIKON D50) - F값이 높을 수록 빛갈라짐이 길어집니다.

(30mm, F11, 2s, ISO 200, NIKON D50) - 후보정을 하지 않은 사진은 광원에 따라 색감이 많이 달라보입니다.

(50mm, F8, 8s, ISO 200, NIKON D50) - 빗맞은 초점으로 찍은 사진 - F값이 낮을 수록 빛망울이 커집니다.


자작(?) 조리개를 사용하면 모양에 따라 빛망울이 달라집니다.
(사진출처및 자작조리개: http://photohistory.tistory.com/6248)



야경사진에는 지켜야 할 몇 가지가 있습니다. 삼각대와 같이 카메라를 장시간 고정시켜줄 물건이 반드시 필요하며, 셔터는 리모콘이나 타이머를 사용해야 하며, 카메라 저정방식은 RAW[각주:2]로 해야 한다는 것들입니다. 물론 이것은 좋은 야경사진을 찍기 위한 선택이지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사진은 빛에 반응하는 것이니 빛이 적은 야경사진에 삼각대를 사용하는 것은 별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야경사진에 셔터를 리모콘이나 타이머를 사용하는 것은 의문이 들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유는 손으로 셔터를 누르고 나면, 삼각대 위의 카메라가 일정 시간 동안 진동을 하는 경우가 있어, 리모콘(or 타이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삼각대는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기 쉽기 때문에 삼각대 밑에 가방 같은 것을 달아놓고 흔들림을 최소화 하기도 합니다. 어떤 카메라는 셔터를 누를 때 발생하는 밀러 쇼크[각주:3]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도 있습니다.

야경을 찍을 경우 사진의 색감이 눈으로 보던 것과 많이 다르게 됩니다. 이럴 경우 후보정[각주:4]을 통해 색상을 올바로 잡아주는데, 이 작업을 색온도[각주:5]를 맞춰준다고도 합니다. 이 작업을 편하게 하기 위해 카메라의 저장방식을 RAW로 합니다. RAW 데이터는 카메라에서 JPEG로 변환하기 전의 데이터로 용량은 크지만 그만큼 정보 많아 후보정이 용이합니다.

또한, 장시간 노출을 하게 되면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므로 노이즈 리덕션도 활성화시키는 것을 권장합니다. 야경만의 장점은 아니지만, 삼각대나 고정된 물체 위에서 올려놓고 촬영하면 손 떨림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화질이 좋은 ISO100이나 ISO200을 놓고 촬영합니다.

(35mm, F10, 1s, ISO 200, NIKON D50)- 빛갈라짐이 야경의 전부는 아닙니다.

(50mm, F2.5, 1/60s, ISO400, NIKON D50)- 시간이 만드는 긴꼬리가 야경의 특별함을 더합니다.

(18mm, F8, 1s, ISO 800, NIKON D50)- 일출직전, 일몰 후 아직 히늘에 빛이 남아있을 때도 찍기 좋은 시간입니다.






  1. 빛갈라짐 : 빛갈라짐 현상은 조리개 날수에 따라 생깁니다. 짝수 조리개 렌즈의 겨우 짝수의 경우는 날 수만큼, 홀수 조리개 렌즈는 날수의 두 배로 생깁니다. 즉, 6개의 조리개 날을 가진 렌즈는 6개의 방향으로, 7개의 조리개 날을 가진 렌즈는 14방향으로 갈라집니다. [본문으로]
  2. RAW : RAW는 카메라가 사진을 찍은 후 JPEG로 변환하기 전의 생(生) 데이터를 말합니다. 카메라는 보통 JPEG로 저장을 하는데 JPEG는 압축효과가 좋아 원래의 데이터보다 용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RAW데이터는 JPEG에 비해 파일크기가 크지만 그만큼 사진에 대한 정보도 많기 때문에 후보정 작업을 원활하게 해줍니다. [본문으로]
  3. 밀러쇼크 : DSLR 카메라는 거울을 이용하여 렌즈에 들어오는 화상을 뷰파인더에 전달합니다. 이때 셔터를 누르면 뷰파인더로 화상을 보내던 거울을 치워버림으로써 화상을 촬상소자에 전달 하는데 이때 밀러쇼크가 발생합니다. 즉, 셔터에 의해 카메라가 흔들립니다. [본문으로]
  4. 후보정 : 대표적으로 포토샵이 있으나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라이트룸과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라이트룸 외에도 니콘캡처, DPP, 포토스케이프 등등 많이 있습니다. [본문으로]
  5. 색온도 : 눈에 보이거나 기계를 통해 보여지는 색상을 K값이라는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영국의 물리학자인 켈빈이 만든 단위 입니다. 이 수치는 낮을수록 적색을 띄고, 높을수록 푸른색을 띕니다. [본문으로]

DSLR을 처음 사용하는 그녀를 위한 안내서 (1)

얼렁뚱땅설명서 2009. 9. 9. 22:23


그녀의 손에 카메라를 쥐어줬습니다. 어떻게 사용하냐는 질문에 난감해 하면서도 이것저것 설명해 봅니다만 어려워하는 그녀의 눈을 통해 내 자신이 안드로메다로 날아가고 있음을 느꼈습니다. 결국 해준 말이라고는 이말뿐입니다. 

모르겠으면 AUTO나 P모드로 찍어!

저도 카메라를 다루는 것이 서툽니다. 멋진 사진을 찍어본 젓도 없고, 어떻게 해야 좋은 사진이 찍히는 지도 모릅니다. 다만 그 서툰 사진 속에서 나를 보게 되었고, 세상을 다시 만난 것처럼, 그녀도 사진을 통해 더 많은 자신과 만나기를 바랄 뿐입니다. 그 마음으로 이 글을 씁니다.

사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조리개, 셔터스피드, ISO, 심도, 화각 등등 알아야 할 것은 많지만 무엇이 먼저인지, 무엇이 필요한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시작은 해야겠죠.


(70mm, F4.5, 1/1250, ISO 200, NIKON D50) - 아웃포커싱

하나, 조리개 다루기

DSLR로 기변하게되는 가장 큰 이유가 아웃포커싱[각주:1]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진 한가운데 사람 하나 서있고, 주변의 모든 것들이 뭉개져서 흐릿한 빛망울로 보이는 사진 말입니다. DSLR 을 처음 사용할 때는 이런 사진들을 보며 감탄하고, ‘아웃포커싱은 사진의 진리’라는 엉뚱한 말을 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런 사진을 (피사계) 심도가 얕다라고 말합니다.

피사계 심도 (depth of field)란 말은 얼핏 들어선 당췌알 수 없는 말입니다. 이런 단어로 카메라의 설명을 듣는 다면 √2가 어쩌고 하는 느낌인 것이 당연합니다. 그래도, 수학공식보다는 쉽고 이것만 알면 카메라기능의 대부분을 알게되는 것이니 조금만 이해력을 발휘하면 됩니다. 
심도란 촛점이 맞는 구간을 말합니다. 그것을 얕다-깊다라고 표현하고, 심도가 얕은 사진을 아웃포커싱(이 잘된) 사진이라고 합니다. 아웃포커싱이 잘된 사진을 만들려면 몇 가지 규칙이 있습니다.

1)F값이 낮은 렌즈를 사용할 것과 되도록 2)되도록 망원렌즈를 사용할 것, 3)카메라와 피사체는 가까워야 하고 배경과의 거리가 멀어질 것 등입니다.

유리창의 빗방울로 심도 비교를 합니다. 위는 F1.4, 아래는 F5.6 입니다. 아래 사진이 촛점이 맞은 구간이 깊습니다.

F값[각주:2]은 조리개 수치라고 이야기 합니다. 이 조리개 수치가 낮을수록 초점이 맞는 부분이 얕고, 높을수록 초점이 맞는 부분이 깊어집니다. 조리개 수치는 사실 카메라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지만, 카메라를 다루는 사람들에게는 초점이 맞는 깊이배경에 깔리는 빛망울의 뭉개짐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쓰입니다.

F값은 렌즈마다 다릅니다. 보통의 줌렌즈들은 F3.5에서부터 시작하여 망원으로 갈수록 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격이 비싼 고급 줌 렌즈들은 F2.8부터 시작하여 망원에서도 같은 수치를 유지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단렌즈들은 F1.4~2.0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그래서 단렌즈로 찍으면 아웃포커싱이 잘된 인물사진을 찍기 쉽습니다.

망원 일수록 조리개 수치가 높아도 아웃포커싱은 잘됩니다. 이것은 찍히는 거리에 비해 초점 맞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얕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것도 피사체가 배경하고 딱! 붙어있으면 아웃포커싱의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인물 사진을 찍는 다면 인물은 배경이 되는 벽면과 적당히 떨어져합니다. 카메라와 피사체가 가깝고 배경이 멀어지면, 멀어진 배경은 초점을 받지 못해 아웃포커싱 효과가 극대화 됩니다.

주의할 것은 피사체 거리에 따라 초점 맞는 면적이 급격히 얕아지기 때문에, 너무 가까운 피사체는 원하는 사진을 얻지 못할 확률이 높다는 것입니다. 즉, 접사를 찍을 경우 F값을 높이지 않으면 일부분만 찍히고 나머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사진이 뭉개집니다. 


(300mm, F6.3, 1/250s, ISO 400, NIKON D50) - 망원사진에서의 아웃포커싱

(35mm, F3.2, 1/80s, ISO 200, NIKON D50) - 접사를 할 경우 F값이 작아 심도가 얕으면 이런 사진이 됩니다.


심도가 낮은 사진은 피사체만을 부각시키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인물 사진의 경우 대부분이 이런 기법을 사용하여 인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는 지저분한 배경으로 인하여 피사체에 집중하기 힘들 경우 배경정리용으로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떤 인물 사진의 경우 반대로 배경을 살려서 찍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산 정상에서 사진을 찍을 경우 얼마나 높이 올라왔는지를 보이려면 배경도 나와야 하겠죠? 이럴 경우 F값을 높여서 찍으면 인물과 함께 배경도 담을 수 있습니다. 이런 사진을 팬포커스이라고 합니다. 산 정상에서 아웃포커싱하면 배경이 다 날아가서 어디가 어딘지 모르자나요. ^^;

(22mm, F20, 1/250s, ISO 800, NIKON D50) - 팬포커싱, 산 아래의 마을까지 선명하게 보입니다.

(30mm, F2.0, 1/25s, ISO 400, NIKON D50) - 배경이 흐릿하게 뭉게져서 피사체에 집중하게 됩니다.


  1. 아웃포커스 : 아웃포커스란 초점이 빗맞는다는 뜻입니다. 아웃오브포커스, 보케, 빛방울, 배경흐림 등등 많은 용어들로 불립니다. 그러나 아웃포커스라고 하면 다 알아들으니 그렇게 부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본문으로]
  2. F값 : F값은 빛이 렌즈를 투과하는 양을 나타냅니다. 렌즈 구경이 52mm일 경우 조리개 값이 52mm이면 F1.0이 되고, 52/√2=F1.4, 52/√4=F2.0으로 표기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빛이 렌즈를 통과하는 면적을 계산한 수치로 F1.0에 비해 F1.4는 빛의 양이 1/2로 줄어들고, F2.0은 F1.4에 비해 또 1/2로 줄어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럼 F2.8은 빛의 양이 얼마나 줄어들게 될까요? [본문으로]